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국 문화, 문학의 고대 영시

고대영시

부족 집단으로 이루어진 게르만족 사회에서 전쟁은 일상적인 일이었다. 양식을 공급해야하는 군주에게 있어서 용맹과 후덕함은 가장 칭송받는 덕목이었다. 군주와 그를 따르는 귀족들은 코미타투스라 불리우는 굳은 충성과 보상의 관계로 맺어져 있었는데 왕은 귀족들의 충성의 대가로 금이나 무기 등의 선물을 하사했다. 홀은 사기 진작의 장소요 , 위험한 외부로부터의 피난처로서 안전과 안락의 상징이었다. 이들은 홀에 모여 식사를 함께하고 시인이 군주의 영웅적 덕목을 기리는 시를 읊조리면 홀 안의 귀족들은 이 시의 청중이 되었다. 이 사회가 공유한 영웅적 이상이 시를 통해 표현되었고 시는 곧 영웅들이 사후의 불멸성을 얻게되는 일종의 통로였다. 이러한 영웅시의 분위기는 어둡고, 낭만적 사랑과는 거리가 먼 세계이다. 두운과 병렬법이 고대 영시 문체의 특징이다.

게르만족에게 기독교가 전파되어 기독교 문화와 게르만족의 전통적기풍 사이에 긴장이 생겨나자 그들은 기독교를 그들의 영웅적 이상에 맞게 소화하여 영웅시를 쓴다. 가령 7세기 말에 쓰여진 캐드먼의 Hymn the Rood에서는 십자가에 매달린 그리스도가 힘세고 용감한 젊은 영웅이라고 묘사되는데, 이것은 십자가에 못박힌 것을 수난으로 보는것이 아니라 오히려 영웅적인 행위로 본다는 것을 뜻한다.

고대 영시 중 가장 중요한 시는 베오울프(Beowulf)이다. 이 시가 언제 쓰여졌는지는 명확히 알 수 없다. 학자에 따라 8세기 혹은 10세기로 추정하고 있는데, 이 시에서는 고대 영시의 특징적인 분위기, 끊임없이 싸워야한다는 강박관념과, 동시에 지상의 행복은 덧없으며 운명은 결국 모든것을 다시 망쳐놓는다는 비감한 의식이 잘 드러난다. 영웅이 애써 만들어놓은 평화는 시간의 변화와 함께 곧 망가진다는 것을 알면서도 용기를 가지고 그 평화를 얻기 위해 다시금 싸우는 것이 영웅적 정신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정신은 The wanderer, The Seafarer 로 부터 The Battle of Maldon에 이르기까지 고대 영시에서 일관되게 발견된다.

 

중세 영시

중세 영시에서 가장 특징적인 장르는 로맨스이다. 로맨스는 시대적, 공간적으로 거리를 둔 곳을 흔히 배경으로 하며 주어진 과업을 이루기위해 모험을 하는 기사의 이야기가 주가 된다. 로맨스에서는 기사가 용이나 거인같은 적을 물리치고 나라를 지켜서 그 대가로 아름다운 공주를 아내로 맞아 왕국을 잇는 자리에 오르기도 하고 내면의 유혹과 외적인 압력 양쪽의 싸움에 모두 이긴후 성배를 찾는 영광에 이르는 등의 이야기들이 흔히 등장한다. 플롯이 어찌 되었든간에 주인공 기사에게는 용맹뿐 아니라 도덕성과 자기 절제, 인내심과 같은 덕성이 요구된다. 또 이들의 모험담에는 마법, 예언, 신비 등 초자연적 요소가 흔히 등장한다. 특히 기사들이 단지 자신의 영예를 위해서 모험을 떠나는 경우도 많지만, 기사가 어떤 여인과 사랑에 빠져 그 여인으로부터 사랑 혹은 은총을 얻기위해 모험을 떠나게 되는 경우가 많아서 로맨스는 흔히 낭만적인 사랑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중세 로맨스에 등장하는 종류의 사랑을 궁정풍 연애라고 부른다. 궁정풍 연애에서 흔히 남자 주인공은 자신보다 지체가 높은 여인과 사랑에 빠진다. 이 여인은 기혼녀일 경우가 많다. 이들의 사랑은 이뤄질 수 없고, 이들의 관계가 의혹을 불러일으킬 경우, 여인은수치를 겪게 되기 때문에 그 사랑은 비밀로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남성은 사랑을 숨겨야 하면서도 동시에 자신의 욕망을 절제된 형태로 표현할 수 있는 힘을 요구한다. 

그 결과 남성은 여성을 이상화하면서 더욱 더 거의 종교적인 열정을 가지고 여성을 숭배하기도하고 또 여인에 대한 자신의 사랑을 증명하기 위해 모험이나 결투, 시합에 자원하여 참여하기도한다. 로맨스의 이러한 상황들은 개인의 욕망과 사회적 의무, 육체적 욕망과 기독교적 덕목 사이의 갈등을 내포하고 있고, 때로는 남성 기사의 내적 성찰과 성장의 계기로 작용하기도 한다. 로맨스는 소재에 따라 영구, 그리스나 로마시대, 프랑스 궁정 등을 소재로 하는 이야기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 중에서도 특히 주목할만한 것은 아더왕을 소재로 하는 로맨스들이다. 1136년 먼머쓰의 제프리가에서 전설적인 영국왕 아더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 이래로 아더는 영국 중세와 르네상스는 물론, 중세 프랑스와 현대 영미 문학에서도 이야기와 시의 단골 소재가 되었다. 1155년 웨이스는 Le Roman de Brut 라는 프랑스어 운문판 아더 이야기를 지었고 12세기 말에는 레이어먼이 중세영어로는 처음으로 Brut라는 아더왕 이야기를 썼으며, 이후 이 이야기들은 점점 발전하여 아더왕 이야기 싸이클을 이루고, 15세기에는 토마스 멜러리가 프랑스 로맨스들을 기초로 하여 Morte Darthur라는 위대한 산문 로맨스를 펴내는데까지 이른다.

14세기 영국문학은 새로운 전기를 맞는다. 영어가 교육받은 사람들의 언어로 정착되어가면서 영어로 쓰여진 진지한 문학작품들이 많이 발견된다. 우선 14세기 후반에는 고대 영시와 유사한 두운과 미터법을 가진 장편 서사시들이 많이 쓰여져서 두운시의 부흥기를 맞이한다. 이들 두운시들은 대부분 영국 서부, 혹은 북서부에서 쓰여졌는데 작가의 이름은 알 수 없지만 아마도 같은 작가의 것으로 추정되는 Pearl과 Sir Gawain and the Green Knight 그리고 사회 각층의 타락을 통렬히 비판하여 리차드 2세 치하의 영국을 뒤흔들었던 농민 반란을 촉발시켰다고까지 평가받는 그러면서도 본질적으로는 매우 사색적이고 깊이있는 신학적, 철학적 고민들을 담고있는 Piers Plowman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위 둘은 모두 꿈속의 계시 형식을 활용하고 잇는데, 이 형식은 보에티우스의 The consolation of Philosophy이래로 중세 시대에 즐겨 사용되어왔다. 14세기에는 이외에도 궁정에서 활약하던 존 가우어와 영시의 아버지라 불리우는 대시인 제프리 초서를 낳았다. 중세 문학을 논하면서 꼭 짚고 넘어가야할 점은 이 시기의 문학은 국제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는 점이다. 즉 영국만의 독자적인 문학세계를 노하기가 어렵고, 유럽 대륙 전체 특히 프랑스나 이태리의 문학 경향이 서로 넘나들면서 영국에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몇가지만 예를 들더라도 12세기 프랑스의 궁정 시인 크레띠엥 드 트르와의 로맨스들, 13세기의 프랑스 시인 기욤 드 로리스와 쟝드 묑의 The Romance of the Rose, 14세기 이태리의 단테, 페트라르카, 보카치오의 작품들은 중세 영국문학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고, 특히 초서와 같은 시인을 낳는 밑거름이 되었다. 초서 이후의 시인들 중 훌륭한 작가들은 스코틀랜드에서 배출되었는데 대표적인 작가로는 로버트 헨리슨과 윌리엄 더바를 들 수 있다.

 

드라마

중세는 전반적으로 드라마가 융성한 시기는 아니었다. 12세기경부터 예수의 부활을 소재로 한 드라마들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그 외에 일반 대중들이 축제나 카니발에서 공연하는 것들이 있기는 하였으나, 본격적인 의미의 중세 드라마는 13,14세기부터 출현했던 싸이클 플레이에서 그 모습을 드러낸다. 천지창조부터 최후의 심판까지의 성경상에 나타나는대로의 인류 혹은 우주의 역사를 전체의 싸이클로하여 각각의 2-30개 정도의 에피소드로 나누어 야외의 이동무대에서 공연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각 에피소드의 공연시간은 10분에서 40분으로 극의 상연은 그 에피소드를 맡은 길드조직이 책임을 졌으므로 배우나 스탭진은 모두 그 도시의 시민이었다. 요크, 체스터, 타운리의 싸이클이 유명하다.

싸이클플레이가 절정에 달해있던 15세기 무렵 도덕극이라 불리우는 또다른 종류의 극이 융성했는데, 이 극들은 일종의 극화된 설교라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추상적 개념을 의인화하여 알레고리 형식으로 쓰여졌다. 선한 천사와 유혹하는 악마는 단골 등장인물이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Everyman, The Castle of Perseverance 가 있다.

 

산문

중세의 산문 중 현재까지 보존된 것들은 설교, 성인전, 신학서적 등 개부분 종교적인 것들이다. 특히 14세기에는 신과 개인의 관계 속에서의 인간의 내적 체험을 중시하는 신비주의가 성하였으므로 이에 영향을 받은 글들이 많다. 리차드 롤과 월터 힐튼이 대표적인 산문작가이다. 특히 13세기 말과 14세기에는 은둔자나 수도원에 살면서 기도와 명상으로 삶을 보냈던 여성 신도들이 많아져서 이들이 자신의 신비한 영적 체험을 기록하여 남겼는데 대표적인 여성작가로는 노르ㅜ이치의 줄리앙, 마저리 캠프 등을 들 수 있다.